• 파쏘홈
 
 
 
 
사이버매장
 
 
 
뉴스
 
도서관
 
지식카
 
커뮤니티
 
업체정보
 
  •  
 
전체
파쏘마니아
김헐크
옆구리허벅지
passobicycle
최고관리자
이엑스오
crow
딸기맛토끼
현승만

 

커뮤니티 - 제목, 글쓴이

프로필이미지
제목 : [XMTB]핑거 브레이킹 테크닉을 배워보자.
계급등급 : 병장
글쓴이 : 옆구리허벅지
추천 : 0
등록일 : 2013-07-31
IP : 14.51.60.30

커뮤니티 - 내용

 

 

 

필자의 경우엔 초등학생 때부터 자전거를 오랫 동안 타면서 자전거는 바뀌고 또 바꿨다. 그러던 중 산악자전거로 입문하고 난 후 라이딩 시 신경 쓰이는 부분이 생겼다. 바로 브레이크 레버를 잡는 손가락의 수이다.

산악자전거 입문 전에는 최대한 많은 손가락으로 브레이크 레버를 잡는 것을 최우선으로 했지만, 막브레이크(생활자전거), 림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등으로 바뀔 때마다 브레이크의 제동력, 스타일에 따라서 브레이크를 잡는 핑거(Finger, 손가락) 수를 설정하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오늘은 어떻게 하면 자신에게 맞는 핑거 브레이킹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핑거 브레이킹 종류

핑거 브레이킹의 종류는 1핑거, 2핑거, 3핑거, 4핑거 브레이킹 이렇게 총 4개가 있다.

브레이킹시 검지(집게손가락)만 사용하는 1핑거, 검지와 중지(가운데손가락)를 사용하는 2핑거, 검지, 중지, 약지를 사용하는 3핑거, 검지, 중지, 약지, 소지(새끼손가락)를 사용하는 4핑거 브레이킹 방식이 있다.

이 브레이킹 방식들은 브레이크 등급과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사할 수 있지만, 이와 무관하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추구하는 라이더는 무조건 4핑거 브레이킹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자신의 라이딩 스타일을 알고 숙련도가 높아진다면 핑거 브레이킹 테크닉도 구사하고 싶어진다.

1359011827_1.jpg

▲1핑거 브레이킹 - 검지만 이용

1359011835_1.jpg

▲2핑거 브레이킹 - 검지와 중지 이용

1359011850_1.jpg

▲3핑거 브레이킹 - 검지, 중지, 약지 이용

1359011858_1.jpg

▲4핑거 브레이킹 - 검지, 중지, 약지, 소지 이용

제동력에 따른 핑거 브레이킹 선택

핑거 브레이킹은 제동력의 정도가 다른 디스크(유압식, 기계식), 림, 막 브레이크에 따라서 핑거 브레이킹 종류를 선택한다. 즉,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1핑거 :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 2핑거 :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림브레이크

. 3핑거 :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 림 브레이크

. 4핑거 : 생활자전거 막브레이크

이는 제동력이 좋은 브레이크일수록 핑거 수는 작아지고, 제동력이 약한 브레이크일수록 핑거 수는 많아진다. 또, 생활자전거의 막브레이크를 제외한다면 2핑거 브레이킹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브레이킹 테크닉이다. 1핑거 브레이킹 경우는 제동력이 가장 좋은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사용되는 고급 기술이다.

핑거 수에 따른 특징

핑거 브레이킹은 그 핑거 수에 따라서 정밀한 제동 정도, 조향성, 안정감이 바뀌게 된다.

. 1핑거 : 정밀한 제동 가능, 조향성 높음, 심리적인 안정감 낮음, 산악라이딩 시 사전 연습 필요

. 2핑거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핑거 브레이킹으로 평균 이상의 정밀한 제동과 조향성 제공함

. 3핑거 : 산악자전거 입문 방식으로 제동에 대한 안정감을 제공

. 4핑거 : 정밀한 제동 불가능, 조향성 낮음, 심리적인 안정감 높음

여기서 1핑거 브레이킹은 손가락 하나로 제동을 하므로 제동력 많이 필요한 산악라이딩시에는 미리 연습을 통해 숙련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스타일에 따른 핑거 브레이킹 변경

핑거 브레이킹 선택은 브레이크 종류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라이딩 스타일과 상황에 따라서 핑거 방식을 변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특히 고속의 다운힐이나 묘기를 하는 트라이얼 경우에서 더욱 그렇다.

고속으로 험한지형을 다운힐 할 때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에 핸들바를 놓치지 않게 하고 제동하는 손가락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하는 검지, 중지, 약지를 이용한 3핑거 브레이킹을 선택해야 한다.

또, 정밀한 제동이 필요한 트라이얼시에는 핸들바를 들어 올리거나 거기에 체중을 실어야 하므로 검지나 중지만을 이용한 1핑거 브레이킹을 선택한다.

이렇게 스타일과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핑거 브레이킹을 선택하는 것은 최고의 포퍼먼스를 내는 것과 동시에 라이더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점 유념해야 한다.

정리 - 방향을 잡고 자신에게 맞는 테크닉을 구사하자.

종합적으로 위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핑거 브레이킹의 선택은 제동력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딩 스타일과 상황, 라이더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즉, 딱 맞아떨어지는 정답은 없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오랜 시간동안 라이딩을 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핑거 브레이킹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아무리 최고 제동력을 갖춘 브레이크가 있다 하더라도 라이더의 숙련도가 낮다면 3핑거 이상의 브레이킹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첫 방향을 잡는 다음 라이딩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핑거 브레이킹을 찾아야 한다.

ⓒ XMTB webzine & www.xmtb.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리스트

 

 
이전글 [BIKEMAGAZINE]프랑스 안시, 꼭 가봐야 할 로드 여...  계급 옆구리허벅지 13-08-08
다음글 [XMTB]산악자전거 프레임 버티드 종류와 그 특징  계급 옆구리허벅지 13-07-30

 

 

[바이크매거진] [팩토...

   전세계에 많은 자전거 업체와 브...

[바이크매거진] 아이...

   스마트폰이 가방이나 져지 포켓...

[바이크매거진] 예민...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레이스 퍼...

[바이크매거진] 서플...

   최근 사이클링 슈즈에 있어서 무...

[바이크매거진] 경량 ...

   로드레이스를 즐기는 라이더에게...

 

 
 
 
주소 : 305-330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 901-3 도원빌딩 4층 | 상호 : (주) 파쏘커뮤니케이션즈 | 사업자 등록번호 : 305-81-95298 | 대표전화 : 1588-8892 FAX : 042-862-7379
대표이사 : 김정기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2010-0212호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김정기 passo@passo.co.kr  
 
Copyright ⓒ 2002 PASSO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