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백제시대의 역사 도시 공주가 고즈넉한 풍경 속 자전거 여행도시로 각광받고 있다. |
자전거 여행하기 좋은 도시 공주 |
![]() |
|
공주에서는 백제보~공주보~세종보 간 42.2km의 금강 자전거 종주길을 만날 수 있는데, 유명한 관광지인 무령왕릉, 한옥마을, 불티교, 석정리 박물관 등을 거칠 수 있다. 금강 종주길을 중심으로 7가지의 테마 코스가 개발된 만큼 다방면으로 자전거길이 이어져있다. 대표적으로, - 추억 금강 자전거길 29.6km (탄천분강리~공주보~구난이약나무마을) - 정안천 생태공원 자전거길 10km (연미산~정안천 생태공원~공주종합버스터미널) - 무성산 홍길동 산악자전거길 20~23.1km 등이 있다. |
![]() |
|
국토 종주 금강 자전거길 안내표지판, 금강의 단절 구간으로 강 위로 이어진 구간이다. |
![]() |
|
국토종주 인증센타, 공주보 구간 |
![]() |
|
금강신관공원의 끝자락에도 봄의 향기가 가득하다. |
![]() |
|
파란선으로 표시된 국토종주길을 따라 가다보면 공주 한옥마을 돌담길을 지나게 된다. |
![]() |
|
무령왕릉 유적지로 이어진 자전거길. |
![]() |
|
날이 좀 더 따뜻해지면 연꽃이 핀다는 생태공원에도 자전거 주행이 가능하며, 금강에서 연결된다. |
![]() |
|
생태공원과 가까운 연미산 아래쪽에는 자동차 주차공간이 확보돼 있어 외부 관광객들의 자전거 여행 종착지 또는 출발지로 두는 경우가 많다. |
자전거의 잠자리도 제공하는 숙박시설 '바이크텔' |
![]() |
|
금강 종주길에 있는 한옥마을은 공주시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숙박과 식사가 가능하다. |
![]() |
![]() |
|
자전거 전용 숙박 공간인 바이크텔. |
![]() |
![]() |
|
회원 가입없이 현장에서 바로 사용 가능하며, 4자리 숫자로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돼 있다. 이용료는 무료이며, 총 32개의 칸이 설치돼 있다. |
![]() |
|
한옥마을 내에 있는 저잣거리에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
활발하게 재가동한 무인 공공자전거 |
![]() |
|
무인 공공자전거 시스템 회원 - 사용료 무료, 홈페이지 가입 후, 최초 회원카드 발급시에만 1500원 부과. 비회원 - 1회 사용시마다 인증료 150원, 현장 키오스크에서 휴대폰 인증 후 사용. (소액결제 차단 이용자, LG텔레콤 휴대폰 이용자는 대여 불가) |
![]() |
|
무인 공공자전거 시스템은 시내와 학교, 유명 관광지를 중심으로 11개소에 배포돼 있다. 매회 대여시 마다 2시간 이용가능하며, 가까운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소에서 반납 및 재대여가 가능하다. |
![]() |
|
재래시장인근에서도 공공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다. |
![]() |
|
회원인 경우, 발급받은 카드를 갖다대기만 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
![]() |
|
자전거를 꺼내고 다시 반납할 때마다 표시등을 확인하면서 조심스럽게 움직이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
![]() |
|
공기주입기는 있는 곳과 없는 곳이 있다. |
![]() |
|
키오스크 상단에 공주시 교통과로 연결된 CCTV가 있으며, 문제 발생시 안내된 연락처로 연락하면 직원이 CCTV 화면을 통해 해결점을 안내해준다. |
![]() |
|
7시부터 20시까지 직원이 11개소의 상황을 관리한다. |
![]() |
|
일부 시민들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미캐닉은 이른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눈코뜰새가 없을 정도다. |
![]() |
|
금강 신관공원에는 유인 자전거 대여소가 있으며, 현재로써는 대여료가 없다. 이용객이 많은 주말에는 1시간, 평일에는 2시간 대여 가능하다. |
자전거도로와 보관소 현황 |
![]() |
|
금강 종주 자전거길을 제외하고 대부분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이다.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 - 노선수 19개, 연장 69.42km 자전거 전용도로 - 노선수 3개, 연장 5.92km 자전거 자동차 겸용도로 - 노선수 4개, 연장 10.40km |
![]() |
|
금강 자전거길의 자전거도로는 37km이며, 단절구간인 9.4km는 강위로 연결돼 있다. |
![]() |
|
타도시에 비해 자전거를 이용한 여성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만큼 자전거를 타기에 탁월한 인프라를 갖췄다는 얘기일 것이다. |
![]() |
|
보관소는 주로 시민의 주요 동선을 중심으로 설치돼 있다. 그러나 아직 바이크텔 이외에 자전거 보관함이나 주차장은 설치돼 있지 않다.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외부 관광객들과 개인 자전거 이용자 수가 더욱 늘어나면 고려할 사항이라는 입장이다. |
매년 여성들과 어린이 위한 교육 실시 |
![]() |
|
매년 2회씩 여성을 위한 자전거 교육이 진행된다. |
![]() |
|
매년 초등학교를 순회하며 어린이교육을 실시하며, 면허 시험도 함께 진행한다. |
올해의 자전거 축제 |
![]() |
|
올해도 금강 신관공원 일대에서 펼쳐지는 자전거 대행진이 진행된다. 4월 19일(토) 09:30~12:30까지 진행되며, 약 1천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
각종 이벤트가 펼쳐지는 금강길 자전거 대행진 외에도 공주시의 산을 활용한 산악자전거 대회도 진행될 예정에 있으며, 날짜와 장소는 아직 미정이다. |
확충된 인프라, 지금은 홍보를 높여야 할 때 |
이전글 | 스페셜라이즈드 팻보이, 팻바이크 출시스페셜라이... |
![]() |
14-04-25 |
다음글 | [바이크매거진] 수도권의 자전거 보관함, 드러난 ... |
![]() |
14-03-10 |